지나친 나트륨 섭취가 '골다공증' 불러와, 치료와 예방

2023. 4. 3. 19:01by 글생도K - Health & Medical Life

골다공증


 

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지고 부서지기 쉬워져 골절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 뼈 질환입니다. 특히 폐경기를 겪은 여성과 노인에게 흔히 나타납니다. 여성에게는 뼈가 가장 튼튼한 때가 대략 30세입니다. 이후 골밀도가 점점 감소합니다. 뼈 손실 감소는 평균적으로 약 50세 경에 발생하여 폐경 후 급속하게 감소합니다.

골다공증의 유형

1) 원발성 골다공증

저절로 발생하며 여성 골다공증의 95% 이상과 남성 골다공증의 약 80%가 이에 속합니다. 에스트로겐 결여로 폐경 후 급속하게 감소합니다. 남성은 50세 이상에서도 폐경 후 여성보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으나, 이 수치 또한 노화와 함께 감소하고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아지면서 골다공증이 발생합니다.

2) 이차성 골다공증 

다른 질환이나 약물에 의해 발병합니다. 만성 신장 질환과 호르몬 질환 등이 있으며 류머티즘 관절염 등도 이차성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골다공증의 원인 

1) 노화 :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뼈의 밀도가 낮아지고 부서지기 쉬워져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2) 호르몬 : 여성의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고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으면 골다공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3) 유전학 : 골다공증의 가족력이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
4) 생활 습관 요인 : 운동 부족, 칼슘과 비타민 D가 적은 식단, 흡연 및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모두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5) 의학적 상태 : 장기간의 약물 복용이 발병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 갑상선 기능 항진증, 갑상선 기능 저하증, 생식선저하증, 쿠싱병, 높은 프롤탁틴 수치, 염증성 장 질환 등이 있습니다. 약물로 프로게스테론, 코르티코스테로이드, 갑상선 호르몬, 일부 화학요법 약물, 항경련제가 있습니다.

6) 나트륨 섭취 과다 : 우리나라는 평균을 웃도는 나트륨 섭취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짜게 먹는 식습관을 우선 고치는 것을 권장합니다. 국 종류, 젓갈류 등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.

7) 기타 : 알코올, 카페인 섭취, 흡연 등이 골다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.

골다공증의 증상 

골다공증은 종종 골절이 발생할 때까지 증상이 없습니다.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허리 통증, 키 감소 또는 구부린 자세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골다공증 진단 

골밀도 검사는 골다공증을 진단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. 골밀도 검사는 다양한 뼈, 가장 일반적으로 엉덩이, 척추 및 손목의 골밀도(BMD)의 양을 측정합니다. 이 테스트는 고통스럽지 않으며 기계가 뼈를 스캔하는 동안 테이블에 누워 있습니다. 골밀도 검사의 결과는 환자의 골다짐과 동성의 건강한 젊은 성인의 평균 골다짐을 비교하는 T-점수로 보고됩니다.

골다공증 치료와 예방 

1) 생활 습관 : 규칙적인 운동, 건강한 식단, 흡연과 과도한 알코올 섭취를 피하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2) 칼슘과 비타민 D 보충제 : 칼슘과 비타민 D는 뼈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입니다. 이러한 영양소를 보충하면 골밀도를 개선하고 골절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3) 약물 :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약물이 있습니다. 이러한 약물은 뼈 손실을 늦추거나 증가시켜 골다공증을 치료합니다. 비스포스포네이트(골 전환 감소 골 손실 감소 골절 위험 감소 낮추는 것으로 입증), 알렌드론산과 리제드로네이트는 경구용 약물입니다. 졸레드론산은 정맥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. 이반드로네이트는 정맥 또는 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입니다.

4) 체중 부하 운동 : 걷기, 계단 오르기는 골밀도를 증가시킵니다. 매일 약 30분 동안 이 운동을 권장합니다.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안전한 운동 프로그램을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.